티스토리 뷰

 

지난 주말부터 중부지방에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주에는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에 국지성 호우가 예상되며, 시간당 50mm 안팎의 집중호우가 예상됩니다.

 

이로 인해 취약 지역에서는 침수나 홍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올해는 장마 초반 강수량이 평년 대비 3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됩니다.

본격적인 장마철에 대비해 집중호우 시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마철 집중호우 시 행동 요령

1. 막힌 하수구 및 배수구 뚫어주기

반지하나 저지대와 같이 상습 침수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는 집중호우 소식이 들릴 경우, 미리 하수구와 배수구가 막히지 않았는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변 하수구나 배수구가 막혀 있으면 빗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집안이 침수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낙엽, 흙, 담배꽁초 등을 미리 제거해야 합니다.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 침수가 예상되는 곳에서는 모래주머니나 물막이 판을 준비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위험지역 -> 안전한 곳으로 대피

저지대,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발생지역, 노후 주택·건물, 이동식 가옥, 임시 시설 거주자는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경우 미리 견고한 건물로 대피해야 합니다.

또한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 계신 분들은 즉시 주변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특히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에서는 급류에 휩쓸릴 위험이 크므로 절대 가까이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비상용품 미리 준비하기

폭우로 인한 재난상황 발생에 대비해 비상용품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을 배낭에 모아 두어, 필요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재난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장마철 집중호우 시 대피 요령

1. 집안에서 행동요령

강풍이나 집중호우 발생 시 건물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파손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문이 있는 곳에서는 되도록 창문을 닫고, 창문이 없는 방이나 집의 안쪽으로 이동하여 몸을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배수구로 물이 차오르거나 역류할 경우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즉시 가스와 수도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야 합니다.

이후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하며, 감전 위험이 있는 전기시설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정전 시에는 양초를 사용하지 말고, 대신 휴대용 랜턴이나 휴대폰의 플래시 불빛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집밖에서 행동요령

집중호우로 인해 대피해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지하공간 등 감전이나 침수, 시설물에 부딪히거나 낙하할 가능성이 높은 곳은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교량 등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는 곳이 있다면 다른 사람들도 진입하지 않도록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세요.

강한 폭우가 내리는 경우 차량을 주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당 100mm의 비가 내리면 표지판 식별이 불가능하므로 차량을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비가 약해질 때까지 잠시 대기하도록 합니다.

 

농촌 지역에서는 논둑이나 물꼬를 점검하러 나가지 않도록 하시고요. 하천 제방은 무너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고립된 지역에서는 무리하게 물을 건너지 말고 119에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지하공간 침수 피해 시 대피 요령

 

1. 지하주택, 지하역사 및 상가 등에서 물이 들어오거나 하수구가 역류될 경우, 즉시 지상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물이 지하계단에 조금이라도 흐를 경우, 즉시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2. 수된 공간에서 대피할 때, 외부 수심이 무릎 이상이라면 여러 명이 함께 문을 열고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문이 열리지 않거나 혼자라면 창문을 통해 대피하고, 동시에 119에 구조 요청을 합니다.

 

3. 단을 이용할 때 물높이가 종아리 높이(약 40cm)를 초과하지 않을 때에는 난간을 잡고 신속히 탈출해야 합니다. 이때 운동화를 착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하주차장에서 빗물이 유입된 경우, 자기 차량의 2/3가 이미 침수되기 전에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이미 침수가 진행된 경우에는 운전석의 목받침 철재봉을 이용해 유리창을 깨고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주차장 진입이나 차량 이동은 절대 금지되어야 합니다.

 

5. 공 동주택 관리자는 빗물 유입 전에 물막이판을 설치하고, 위험을 알리는 안내문을 붙여야 합니다.

 

이러한 대피 요령을 준비하고 상황에 맞게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